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국립국악관현악단 관현악시리즈 I '정반합'

CULTURE/CULTURE NEWS

by 엠큐데이 2024. 9. 28. 22:31

본문


▲MQDAY INSTAGRAM


-친근하고 대중적인 국악관현악, 국립국악관현악단 관현악시리즈 I ‘정반합

 

반응형

국립국악관현악단(예술감독 겸 단장 채치성)은 관현악시리즈 I ‘정반합 102()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2024~2025 레퍼토리시즌 첫 관현악시리즈로, 국립국악관현악단 채치성 예술감독 겸 단장이 지휘자이자 작곡가로서 본인의 작품 세계를 관객들에게 처음 선보이는 무대이기도 하다.

 

공연의 제목이 된정반합은 철학자 헤겔의 변증법에서 모든 사물의 발전 과정을 설명하는 주요 개념이다. 이 세계의 모든 사물은 모순적 속성을 지니고 있어 현재 유지되는 상태나 질서인이 이를 부정하는 새로운 힘인을 만나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을 도출하며 발전이 이뤄짐을 의미한다.

 

국립국악관현악단은 그동안 전통이라는의 상태에서 동시대와의 접점을 찾기 위한에 가까운 새로운 시도를 지속해왔다. 이번 공연은 그간 구축해온 작업을 토대로 제8대 예술감독 겸 단장 채치성과 함께 또 다른으로 나아가는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음악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채치성은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가요꽃분네야의 작곡가로 잘 알려져 있으며, ‘친숙하고 편안한 국악을 통한 관객 저변의 확장을 표방해왔다. 이번정반합에서도 우리에게 친숙한 전통적인 노래 등을 소재로 편안하고도 친근한 국악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해 관객들에게 더욱 쉽고 가깝게 다가가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첫 곡은 김희조 작곡가의합주곡 1이다. 1982년 초연 당시 창작 국악의 새로운 전형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현재까지도 꾸준히 연주되는 국악관현악 대표 레퍼토리다. 민요·판소리·산조 등 민간음악을 모티프로 만들어진 작품으로, 채치성은서양 관현악의 양식을 토대로 국악의 맛도 놓치지 않은 명곡이라 평가하며 선곡 배경을 밝혔다. 단악장으로 느린 주제부에서 시작해 모두 열 번의 장단 변화에 이어 느린 종결부로 마무리되는 이 곡은 전통 음악의 구성 원리를 따르고 있다. 각 장단 변화에 따라 드러나는 다양한 전통 악기별 주제 선율 연주에서 각 악기 고유의 시김새가 잘 살아있어현대판 시나위로 불리기도 한다. 이번 공연에선 김만석 작곡가가 국립국악관현악단 편성에 맞게 재편곡해 연주한다.

 

이어지는 무대는 신윤수 작곡가의 위촉 초연곡 국악관현악을 위한風流(풍류) Ⅳ’. 가곡을 노래 없이 기악으로만 연주하는 전통 음악 양식인사관풍류의 형식미를 국악관현악으로 확대·발전시킨 곡이다. 전통 가곡편수대엽을 분석하고 정리한 음악적 소재를 남창가곡과 남성합창, 그리고 국악관현악으로 조화롭게 엮어 작품을 전개한다. 남창 가객은 국립국악원 정악단 정가단원 김대윤이, 남성 2부 합창은 국립합창단이 맡는다.

 

최덕렬 작곡가의 위촉작 새타령 주제에 의한 국악관현악수리루 1970년대부터 다양한 장르에 활용되며 대중적으로 친숙한 선율의 남도잡가새타령에서 출발한 작품이다. 새타령의 주요한 음악적 요소를 발전시켜 국악관현악으로 확장해 나가는 과정을 흥미롭게 그려낸다. 특히 다양한 국악기로 만들어내는 다채로운 새소리와 그 사이를 엮어나가는 선율이 관객들에게 새로운 재미를 선사한다.

 

공연의 대미는 채치성이 작곡한 신작 태평소 협주곡메나리조 풍류가 장식한다. 메나리토리는 한반도 동부지역인 강원도와 함경도 일대에서 전해지는 소리로, 소박함과 애틋함이 녹아드는 특징을 지닌다. 태평소가 가장 빛날 수 있는 음색과 선율의 흐름에 집중해 작곡한 이 작품은 메나리토리를 바탕으로 태평소가 전하는 호방함과 자유로움이 더해져 한국적인 서정성과 전통음악의 깊은 매력을 멋스럽게 전달한다. 태평소 협연에는 국립국악관현악단 피리 수석 단원 강주희가 함께한다.


엠큐데이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_ mqday@naver.com

ⓒ엠큐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